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 이 글은 썸트렌드 에어로 '뷔페'를 리서치한 글입니다.
현재 국내 뷔페 시장은 급부상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외식물가 상승으로 인해 외식 부담이 크게 늘어나면서 뷔페가 가격 대비 심리적인 만족을 줄 수 있는 장소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1] 코로나19로 위기를 겪었던 뷔페 업계도 다양한 마케팅을 펼치며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습니다. 특히 애슐리, 빕스 등 뷔페 외식업 매출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CJ푸드빌에 따르면 점당 매출은 전년 대비 13% 증가했습니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빕스는 연평균 약 35%의 성장세를 보였으며, 애슐리도 전년 대비 50% 증가하는 등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외식을 하다가도 비용이 많이 든다는 소비자들에게는 뷔페가 더 합리적인 선택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1] 그 외에도 무한리필할 수 있는 매장이나 특정 메뉴로 인기를 끄는 곳들이 있다고 합니다.[4] 국내 외식업 시장에서도 뷔페 전문점이 성장률을 높이는 요소로 부상하고 있으며, 가성비나 가심비를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시장에서의 뷔페 업계는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성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는 국내 레스토랑 시장에서도 뷔페 전문점의 인기와 함께 버거 시장 성장, 그리고 카페 시장 정체 등에서도 나타나고 있습니다.[5]
- 1뷔페 외식 ‘가심비’로 뜬다헤럴드경제 · 24.04.01
- 2“과일만 먹어도 제값인걸요”…뷔페, ‘가심비’로 뜬다 [푸드360]헤럴드경제 · 24.03.29
- 3경성 `미식살롱`…추억의 경양식이 시작된 곳한국경제 · 24.06.13
- 4중저가 뷔페·무한리필의 부활… 고물가에 문전성시조선비즈 · 24.05.07
- 5"지난해 국내 외식시장 규모 100조원 돌파… 전년比 9% 증가"조선비즈 · 24.04.04
뷔페 관련 트렌드는 최근에 건강을 중시하는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신선한 채소와 과일, 저염식 메뉴, 저칼로리 메뉴, 균형 잡힌 영양소를 제공하는 것을 강조하며, 건강식 조리법 및 유기농 채소, 저지방 식재료를 사용하여 건강을 고려한 메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뷔페 업계에도 건강을 중시하는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뷔페는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음식을 선보이는 뷔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한자리에서 다양한 음식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뷔페가 먹는 공간을 넘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라이브 음악, 퍼포먼스, 이벤트 등을 통해 고객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는 곳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더 많은 고객들이 다양한 경험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뷔페 업계에서 중요한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1]
- 1뷔페 메뉴에서 최신 트렌드 통합하기티스토리 · 24.08.23
- 2출장뷔페가격, 지역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나요?티스토리 · 24.05.22
- 3국내 호텔 뷔페 트렌드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티스토리 · 24.08.21
1) 프리미엄 뷔페 트렌드
• 최근 뷔페에서 프리미엄 트렌드가 강조되고 있으며, 고객들이 식사를 주문한 즉시 조리해 제공하는 방식이 주요해지고 있다. 롯데호텔 라세느의 경우 150여 가지 메뉴 중 70%가 즉석조리된다. 조선호텔앤리조트도 뷔페 스테이션 위의 음식 양을 10인분 정도로 유지하고 있다.
• 다양한 국적의 음식을 해당 국적의 요리사가 직접 조리하는 뷔페도 늘어나고 있으며, SNS의 발달로 디저트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호텔 업계에서는 시즌별 디저트 이벤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고객이 본인의 취향에 맞게 "한 접시"를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디저트를 제공하고 있다.
2) 외식업 상권 분석과 뷔페 업종
• 핀다가 최근에 전국 외식업 상권 동향을 공개했는데, 7월 국내 외식업 매출 규모는 전년 대비 약 3.30% 감소했으며, 뷔페와 패스트푸드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감소했다.
•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뷔페 레스토랑은 '가성비 외식'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평일 점심에는 1만원대 후반, 주말에는 2만원대 후반에 매우 다양한 메뉴를 즐길 수 있다.
3) 외국인 관광객과 뷔페 인기
•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로 외식업계에서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으며, 뷔페식 음식점이 외국 관광객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애슐리퀸즈 종각역점을 비롯한 뷔페식 음식점이 외국인 손님 매출 비중이 3배 가까이 증가하며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MZ 세대와 꿀조합 트렌드
• 최근 식품·외식 업계에서는 MZ(밀레니얼+Z)세대의 수요에 맞춰 '꿀조합 레시피'를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맛있는 조합을 의미한다.
• 꿀조합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며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소비를 유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외식업계가 불황을 극복하고 있는 흐름이다.
- 1경성 `미식살롱`…추억의 경양식이 시작된 곳한국경제 · 24.06.13
- 2고물가에 뷔페 찾는 사람들 ‘쑥’…가성비 경쟁도 심화이데일리 · 24.08.26
- 3“간편식 즐기고 가성비 뷔페 가요”…‘욜로’서 ‘요노’로 갈아탄 MZ매일경제 · 24.08.13
- 4"외국인 손님 3배나 늘었다"…K뷔페 뜻밖의 호황, 무슨 일중앙일보 · 24.08.24
- 5`뷔페 꿀조합` 신봉선도 반했다…요즘 MZ들 난리 난 음식 [김세린의 트렌드랩]한국경제 · 24.08.15
고물가 시대에 호텔 뷔페의 상황은 혼란스럽습니다. 고급 호텔 뷔페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지만,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서울신라호텔의 `더파크뷰`, 웨스틴조선호텔 `아리아`, 롯데호텔 `라세느`, JW 메리어트호텔 서울 `플레이버즈` 등이 일부 뷔페 가격을 상승시킨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는 재료비와 인건비 등 물가 상승으로 가격 조정이 이뤄졌다는 설명이 있습니다.
썸트렌드 에어